번역/대학장구

대학장구 傳7章~8章

誠之 2024. 10. 5. 13:20
반응형

7장

所謂脩身在正其心者,身有所忿懥,則不得其正;有所恐懼,則不得其正;有所好樂,則不得其正;有所憂患,則不得其正。
이른바 수신은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달려있다는 것은, 몸에 성내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을 수 없고, 두려운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을 수 없고,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을 수 없고, 근심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程子曰:「身有之身當作心。」忿,弗粉反。懥,敕值反。好、樂,並去聲。忿懥,怒也。蓋是四者,皆心之用,而人所不能無者。然一有之而不能察,則欲動情勝,而其用之所行,或不能不失其正矣。
정자가 말했다. "' 身有'의 '身은 마땅히 '心'으로 봐야 한다." 忿의 음은 'ㅂ+ㅜㄴ'이다. 懥의 음은 'ㅊ+ㅣ'다. 好, 樂은 모두 거성이다. (
hào, yào) 忿懥는 성냄이다. 이 네 가지는 모두 마음의 작용이고, 사람이 없을 수 없는 바이다. 그러나 하나라도 있는데 살필 수 없으면 욕망이 움직이고 정이 승하여 그 작용이 행하는 바가 혹 그 바름을 잃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心不在焉,視而不見,聽而不聞,食而不知其味。
마음이 여기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心有不存,則無以檢其身,是以君子必察乎此而敬以直之,然後此心常存而身無不脩也。
마음이 보존되지 않으면 그 자신을 점검할 수 없기 때문에 군자는 반드시 이것을 살펴서 경하여 곧게 한 연후에 이 마음이 항상 보존되고 몸이 닦이지 않음이 없다.
此謂脩身在正其心。
이것을 일러 수신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달려있다고 한다.

右傳之七章。釋正心脩身。
우는 제 7장이다. 정심, 수신을 풀이했다.
此亦承上章以起下章。蓋意誠則真無惡而實有善矣,所以能存是心以檢其身。然或但知誠意,而不能密察此心之存否,則又無以直內而脩身也。自此以下,並以舊文為正。
이 또한 앞장을 이어 다음장을 일으킨 것이다. 의념이 성실해지면 진실로 악이 없고 실로 선이 있게 되니, 능히 이 마음을 보존하여 그 자신을 점검하는 것이다. 그러나 혹 의념을 성실히 할 줄은 알면서도 이 마음이 보존되었는지 아닌지 엄밀하게 살피지 못한다면 또한 안을 곧게 하여 몸을 닦을 수 없게 된다. 여기서부터는 모두 구문을 바른 것으로 삼는다.

8장

所謂齊其家在脩其身者:人之其所親愛而辟焉,之其所賤惡而辟焉,之其所畏敬而辟焉,之其所哀矜而辟焉,之其所敖惰而辟焉。故好而知其惡,惡而知其美者,天下鮮矣!
이른바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것이 그 몸을 닦는 데 있다는 것은, 사람이 그 친애하는 바에 치우치고, 그 천하게 여기고 싫어하는 바에 치우치고, 그 경외하는 바에 치우치고, 그 슬퍼하고 긍휼히 여기는 바에 치우치고, 그 거만하고 게으른 바에 치우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좋아하면서도 그 나쁜 것을 알고, 미워하면서도 그 아름다운 것을 아는 자는 천하에 드물다!
辟,讀為僻。惡而之惡、敖、好,並去聲。鮮,上聲。人,謂眾人。之,猶於也。辟,猶偏也。五者,在人本有當然之則;然常人之情惟其所向而不加審焉,則必陷於一偏而身不脩矣。
辟은 僻(치우치다)로 읽는다. ' 惡而'의 惡과 敖, 好은 모두 거성이다. 鮮은 상성이다. 人은 여러사람을 말한다. 之는 於와 같다. 辟은 치우침과 같다. 다섯 가지는 사람에게 있어 본래 가지고 있는 당연지칙이나 일반 사람들의 감정이 향하는 바이지만 거기에 살핌을 더하지 않기 때문에 필시 한 편으로 빠져서 몸이 닦이지 않는 것이다.
故諺有之曰:「人莫知其子之惡,莫知其苗之碩。」
그러므로 속언에서 말하기를 "사람이 그 자식의 악함을 알지 못하고 그 싹의 커다람을 알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諺,音彥。碩,協韻,時若反。諺,俗語也。溺愛者不明,貪得者無厭,是則偏之為害,而家之所以不齊也。
諺의 음은 언이다. 碩은 협운이며 소리가 (ㅅ+ㅑㄱ)이다. 諺은 속어이다. 아끼는 데에 빠진 자는 밝지 못하고, 얻는 데 탐닉한 자는 만족하지 않으니 이는 치우침이 해가 되는 것이며 집안이 가지런해지지 못하는 까닭이다.
此謂身不脩不可以齊其家。
이것을 몸이 닦이지 않으면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할 수 없다고 말한다.

반응형

'번역 > 대학장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장구 傳10章  (1) 2024.10.23
대학장구 傳9章  (0) 2024.10.11
대학장구 傳4章~6章(+격물보망장格物補亡章)  (1) 2024.10.03
대학장구 傳1章~3章  (0) 2023.05.18
대학장구 經1章  (0)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