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子曰: 「舜其大知也與! 舜好問而好察邇言, 隱惡而揚善, 執其兩端, 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 」
자왈 "순임금의 그 큰 지혜여!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고 가까운 말을 살피길 좋아하셨으며, 악을 감추고 선을 드날리셨으며, 양쪽의 실마리를 가지고 백성에게 그 중을 사용하셨다. 이로써 순임금이 되신 것이리라!"
知, 去聲. 與, 平聲. 好, 去聲. ○舜之所以爲大知者, 以其不自用而取諸人也. 邇言者, 淺近之言, 猶必察焉, 其無遺善可知. 然於其言之未善者則隱而不宣, 其善者則播而不匿, 其廣大光明又如此, 則人孰不樂告以善哉. 兩端, 謂衆論不同之極致. 蓋凡物皆有兩端, 如小大厚薄之類, 於善之中又執其兩端, 而量度以取中, 然後用之, 則其擇之審而行之至矣. 然非在我之權度精切不差, 何以與此. 此知之所以無過不及, 而道之所以行也.
순임금이 큰 지혜를 가진 사람이 되는 까닭은 그가 스스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서 취했기 때문이다. 가까운 말이란 천근한 말이지만 오히려 반드시 살펴서 남은 선이 없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말이 선하지 않은 자에게는 감추어 드러나지 않게 하고 그 선한 자는 퍼뜨리고 감추지 않으니 그 광대하고 광명함이 또한 이와 같으니, 사람이 누군들 선으로 고하기를 즐기지 않겠는가. 양쪽의 실마리란 중론이 동일하지 않은 극치이다. 대개 무릇 사물은 모두 양단이 있어 예컨대 크고 작고 두텁고 얇은 부류에서 선한 가운데에 또한 그 양쪽의 실마리를 잡아 헤아린 후에 중을 취한 연후에 사용하면 그 택한 것이 자세하고 행한 것이 지극할 것이다. 하지만 나에게 있는 권도가 정절하여 어긋나지 않는 자가 아니라면, 무엇으로 더불겠는가? 이는 지가 과불급이 없는 까닭이며 도가 행해지는 까닭이다.
右第六章.
7. 子曰: 「人皆曰予知, 驅而納諸罟擭陷阱之中, 而莫之知辟也. 人皆曰予知, 擇乎中庸而不能期月守也. 」
자왈 "사람들은 모두 내가 안다고 말하지만 그물과 덫과 함정 가운데로 몰아넣어도 피할 줄 모른다. 사람들은 모두 내가 안다고 말하지만 중용을 택하여도 한달을 지키지 못한다."
*人皆曰予知에서 予를 1)다른 사람들이라고 볼 수도 있고, 2)공자라고 볼 수도 있다. 1)처럼 보면 "사람들이 모두 자기 자신이 안다고 말하지만"의 뜻이 되지만, 2)처럼 보면 "사람들이 모두 날더러 안다고 말하지만"의 뜻이 된다.
予知之知, 去聲. 罟, 音古. 擭, 胡化反. 阱, 才性反. 辟, 避同. 期, 居之反. ○罟, 網也; 擭, 機檻也; 陷阱, 坑坎也; 皆所以掩取禽獸者也. 擇乎中庸, 辨別衆理, 以求所謂中庸, 卽上章好問用中之事也. 期月, 匝一月也. 言知禍而不知辟, 以況能擇而不能守, 皆不得爲知也.
罟는 그물이다. 擭은 덫이다. 陷阱은 구멍(함정)이다. 모두 짐승을 몰래 잡는 것이다. 중용을 택하는 것은 갖은 이치를 변별하여 소위 중용을 구하는 것이니, 앞장의 묻기를 좋아하고 중을 사용하는 일이다. 期月은 한달을 도는 기간이다. 화를 알면서도 피할줄 모르고, 하물며 택할 수 있어도 지킬 수 없었기 때문에 모두 지혜롭다고 할 수 없음을 말한다.
右第七章.
承上章大知而言, 又擧不明之端, 以起下章也.
앞장 큰 지혜를 이어 말하였으며 또한 밝지 않은 실마리를 들어 다음 장을 일으켰다.
8.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 得一善, 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 」
자왈 "안회의 사람됨은 중용을 택하여 한 가지 선을 얻으면 가슴에 꽁꽁 품어 잃어버리지 않았다."
回, 孔子弟子顔淵名. 拳拳, 奉持之貌. 服, 猶著也. 膺, 胸也. 奉持而著之心胸之間, 言能守也. 顔子蓋眞知之, 故能擇能守如此, 此行之所以無過不及, 而道之所以明也.
回는 공자의 제자 안연의 이름이다. 拳拳은 받들어 간직하는 모양이다. 服은 밀착着함과 같다. 膺은 가슴이다. 받들어 간직하여 가슴 사이에 꼭 품는 것이니, 지킬 수 있음을 말한다. 안회는 대개 진실로 알아서 택할 수 있고 지킬 수 있음이 이와 같았다. 이는 행함에 과불급이 없었던 까닭이며 도가 밝아지는 까닭이다.
右第八章.
子曰: 「天下國家可均也, 爵祿可辭也, 白刃可蹈也, 中庸不可能也. 」
자왈 "천하 국가는 균평하게 할 수 있고, 작록은 사양할 수 있고, 칼날은 밟을 수 있지만 중용은 할 수 없다."
均, 平治也. 三者亦知仁勇之事, 天下之至難也, 然不必其合於中庸, 則質之近似者皆能以力爲之. 若中庸, 則雖不必皆如三者之難, 然非義精仁熟, 而無一毫人欲之私者, 不能及也. 三者難而易, 中庸易而難, 此民之所以鮮能也.
均은 평치함이다. 세가지는 또한 지, 인, 용의 일이며 천하의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반드시 중용에 합하지 않더라도 바탕이 비슷한 사람은 힘으로 할 수 있다. 중용 같으면, 비록 반드시 모두 세가지의 어려움 같지 않더라도 의가 정밀하고 인이 무르익어 한 터럭의 인욕의 사사로움이 없는 사람이 아니면 다다를 수 없다. 세가지는 어려우면서도 쉽고, 중용은 쉬우면서도 어렵다. 이는 백성들이 능한 자가 적은 까닭이다.
右第九章.
亦承上章以起下章.
또한 앞장을 이어 뒷장을 일으켰다.
10. 子路問强. 자로가 강함에 대해 물었다. 子路, 孔子弟子仲由也. 子路好勇, 故問强. 자로는 공자 제자 중유이다. 子曰: 「南方之强與? 北方之强與? 抑而强與? 자왈 "남방의 강함인가? 북방의 강함인가? 아니면 너의 강함인가?" 與, 平聲. ○抑, 語辭. 而, 汝也. 抑은 어조사이다. 而는 너이다. 寬柔以敎, 不報無道, 南方之强也, 君子居之. 관대함과 온유함으로 가르치고 무도함에 보복하지 않는 것이 남방의 강함이니 군자가 거한다. 寬柔以敎, 謂含容巽順以誨人之不及也. 不報無道, 謂橫逆之來, 直受之而不報也. 南方風氣柔弱, 故以含忍之力勝人爲强, 君子之道也. 관대함과 온유함으로 가르친다는 것은 부드러움巽順을 품어서含容 다른 사람의 미치지 못함을 가르쳐주는 것이다. 무도함에 보복하지 않는다는 것은 횡포함橫逆이 닥쳤을 때 그대로 받아들여 보복하지 않는 것이다. 남방의 기풍은 유약하기에 함인하는 힘이 남을 이기는 것을 강함으로 삼으니 군자의 도이다. 衽金革, 死而不厭, 北方之强也, 而强者居之. 무기와 갑옷을 자리에 깔고 누워 죽어도 싫어하지 않는 것이 북방의 강함이이니 강한 자가 거한다. 衽, 席也. 金, 戈兵之屬. 革, 甲冑之屬. 北方風氣剛勁, 故以果敢之力勝人爲强, 强者之事也. 衽은 자리를 까는 것이다. 金은 무기의 속이다. 革은 갑옷의 속이다. 북방의 기풍은 강경하기에 과감한 힘이 남을 이기는 것을 강함으로 삼으니 강자의 일이다. 故君子和而不流, 强哉矯! 中立而不倚, 强哉矯! 國有道, 不變塞焉, 强哉矯! 國無道, 至死不變, 强哉矯! 그래서 군자는 화하되 휩쓸리지 않으니 강하도다! 가운데 서서 치우치지 않으니 강하도다! 나라에 도가 있으면 어려웠을 때를塞 변치 않으니 강하도다! 나라에 도가 없으면 죽음에 이르러도 변하지 않으니 강하도다! 」 此四者, 汝之所當强也. 矯, 强貌. 詩曰 「矯矯虎臣」 是也. 倚, 偏著也. 塞, 未達也. 國有道, 不變未達之所守; 國無道, 不變平生之所守也. 此則所謂中庸之不可能者, 非有以自勝其人欲之私, 不能擇而守也. 君子之强, 孰大於是. 夫子以是告子路者, 所以抑其血氣之剛, 而進之以德義之勇也. 이 네가지는 네가 마땅히 강해야 하는 바이다. 矯는 강한 모양이다. 시에서 말한 "강하고 강한 호랑이 같은 신하"가 그것이다. 倚는 치우쳐 고착됨이다. 塞은 영달하지 못함이다. 나라에 도가 있으면 영달하지 못했을 때 지킨 바를 변치 않는다. 나라에 도가 없으면 평생 지킨 바를 변치 않는다. 이러하면 소위 중용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란 스스로 인욕의 사사로움을 이길 수 있는 자가 아니면 택하여 지킬 수 없다. 군자의 강함에 무엇이 이보다 크겠는가? 공자께서 이것으로써 자로에게 알려준 것은 그 혈기의 강함을 억누르고 德義의 용감함으로 나아가게 한 것이다.
右第十章.
'번역 > 중용장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장구 14, 15, 16, 17, 18, 19장 (1) | 2023.06.16 |
---|---|
중용장구 11, 12, 13장 (1) | 2023.06.12 |
중용장구 2, 3, 4, 5장 (0) | 2023.05.22 |
중용장구 1장 (2) | 2023.05.12 |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3)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