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子曰:「素隱行怪,後世有述焉,吾弗為之矣。
자왈 "은미한 것을 찾고 괴이한 것을 행하면 후세에 칭술됨이 있을 것이나 나는 하지 않는다."
素,按漢書當作索,蓋字之誤也。索隱行怪,言深求隱僻之理,而過為詭異之行也。然以其足以欺世而盜名,故後世或有稱述之者。此知之過而不擇乎善,行之過而不用其中,不當強而強者也,聖人豈為之哉!
素는 한서에 따르면 마당히 索이 되어야 하니, 아마 글자의 오류이다. 索隱行怪란 은벽한 이치를 깊이 구하고 지나치게 궤이한 행동을 함을 말한다. 그러나 세상을 속이고 이름을 훔치기에 충분하기에 후세에 혹 칭술하는 자가 있다. 이는 앎이 지나치면서 선을 택하지 않으며, 행이 과하면서 중을 사용하지 않으며, 마땅히 강하지 말아야 하는데 강한 것이니, 성인이 어찌 행하겠는가!"
君子遵道而行,半塗而廢,吾弗能已矣。
군자는 도를 따라 행하며 중도에 그만두나 나는 그만둘 수 없다.
遵道而行,則能擇乎善矣;半塗而廢,則力之不足也。此其知雖足以及之,而行有不逮,當強而不強者也。已,止也。聖人於此,非勉焉而不敢廢,蓋至誠無息,自有所不能止也。
도를 따라 행하는 것은 선을 택할 수 있는 것이다.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힘이 부족한 것이다. 이는 앎이 비록 미치기에 충분하지만 행함에 막힘이 있어 마땅히 강해야 하는데 강하지 않은 것이다. 已는 그치는 것이다. 성인은 여기에서 힘써서 감히 그만두지 않는 것이 아니라, 대개 지극한 성이 쉼이 없어 스스로 그만 둘 수 없는 바가 있는 것이다.
君子依乎中庸,遯世不見知而不悔,唯聖者能之。
군자는 중용에 의지하여 세상에 숨어 알려지지 않아도 후회하지 않으니 오직 성인이 할 수 있다.
不為索隱行怪,則依乎中庸而已。不能半塗而廢,是以遯世不見知而不悔也。此中庸之成德,知之盡、仁之至、不賴勇而裕如者,正吾夫子之事,而猶不自居也。故曰唯聖者能之而已。
은미한 것을 찾고 괴이한 것을 행하지 않는다면 중용에 의지할 뿐이다. 중도에 그만둘 수 없기에 세상에 숨어 알려지지 않아도 후회하지 않는다. 이는 중용이 덕을 이룸이며, 앎이 다함이며, 인이 지극함이며 용기에 기대지 않아도 여유로운 것이니 바로 우리 공자님의 일이나 오히려 자처하지 않으셨다. 그래서 오직 성인이 할 수 있다고 말할 뿐이다.
右第十一章。
우는 제 11장이다.
子思所引夫子之言,以明首章之義者止此。蓋此篇大旨,以知仁勇三達德為入道之門。故於篇首,即以大舜、顏淵、子路之事明之。舜,知也;顏淵,仁也;子路,勇也:三者廢其一,則無以造道而成德矣。餘見第二十章。
자사가 인용한 공자의 말로써 첫장의 뜻을 밝힌 것이 여기에서 끝났다. 대개 이 편의 큰 뜻은 지인용 세 달덕을 입도의 문으로 삼은 것이다. 그래서 편머리에 순임금, 안연, 자로의 일로써 밝혔다. 순임금은 지이며 안연은 인이며 자로는 용이다. 세 가지에서 하나를 폐하면 도를 창조하고 덕을 이룰 수 없을 것이다. 나머지는 제 20장에 보인다.
12. 君子之道費而隱。
군자의 도는 드러나면서도 감춰져 있다.
費,符味反。○費,用之廣也。隱,體之微也。
費의 음은 비(ㅂ+ㅣ)이다. 費는 용이 광대한 것이며, 隱은 체가 은미한 것이다.
夫婦之愚,可以與知焉,及其至也,雖聖人亦有所不知焉;夫婦之不肖,可以能行焉,及其至也,雖聖人亦有所不能焉。天地之大也,人猶有所憾。故君子語大,天下莫能載焉;語小,天下莫能破焉。
부부의 우둔함으로도 더불어 알 수 있으나 그 지극함에 이르면 비록 성인이라도 또한 알지 못하는 바가 있다. 부부의 불초함이라도 행할 수 있으나 그 지극함에 이르면 비록 성인이더라도 또한 할 수 없는 바가 있다. 천지의 광대함은 사람이 오히려 한스러워 하는 바가 있다. 그래서 군자가 큰 것을 말하면 천하가 실을 수 없고, 작은 것을 말하면 천하가 깨부술 수 없다.
與,去聲。君子之道,近自夫婦居室之間,遠而至於聖人天地之所不能盡,其大無外,其小無內,可謂費矣。然其理之所以然,則隱而莫之見也。蓋可知可能者,道中之一事,及其至而聖人不知不能。則舉全體而言,聖人固有所不能盡也。侯氏曰:「聖人所不知,如孔子問禮問官之類;所不能,如孔子不得位、堯舜病博施之類。」愚謂人所憾於天地,如覆載生成之偏,及寒暑災祥之不得其正者。
與는 거성이다. 군자의 도는 가깝게는 부부가 사는 방 사이에서부터, 멀게는 성인과 천지가 다할 수 없는 바에 이르기까지, 그 광대함은 밖에 없고, 그 작음은 안이 없으니 費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리의 소이연은 감춰져 볼 수 없다. 대개 알 수 있고 행할 수 있는 것은 도 가운데 한 가지 일이니, 그 지극함에 이르면 성인도 알지 못하고 할 수 없으니, 전체를 들어 말하자면 성인이라도 진실로 다할 수 없는 바가 있다. 후씨가 말하기를 "성인이 알지 못하는 바는 공자가 예를 묻고 관을 물은 부류이다. 할 수 없는 바는 공자가 지위를 얻지 못하고 요순이 널리 베푸는 것을 어려워한 부류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사람이 천지에 한스러워하는 바는 예컨대 덮고, 싣고, 생하고, 이루는 것이 치우쳐 춥고 덥고 재앙과 상서로움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詩云:「鳶飛戾天,魚躍于淵。」言其上下察也。
시에서 말하길 "솔개가 날아 하늘에 이르고 물고기가 연못에 뛰어오른다"라고 하였으니 위 아래로 드러남을 말한다.
鳶,余專反。詩大雅旱麓之篇。鳶,鴟類。戾,至也。察,著也。子思引此詩以明化育流行,上下昭著,莫非此理之用,所謂費也。然其所以然者,則非見聞所及,所謂隱也。故程子曰:「此一節,子思喫緊為人處,活潑潑地, 1」 讀者其致思焉。
鳶의 음은 연(ㅇ+ㅕㄴ)이다. 시 대아 한록 편이다. 鳶은 鴟의 류이다. 戾는 다다름이다. 察은 드러남이다. 자사가 이 시를 인용하여 화육 유행이 위 아래로 밝게 드러나 이 리의 작용이 아님이 없음을 밝혔으니 소위 費이다. 그러나 그 소이연이란 보고 들음이 미칠 바가 아니니, 소위 隱이다. 그래서 정자가 말하길 "이 한 구절은 자사가 긴요하게 사람들을 위한 곳이니, 활발발하다"라고 하였다. 독자는 여기에 생각을 다 해야 한다."
君子之道,造端乎夫婦;及其至也,察乎天地。
군자의 도는 부부에서 실마리를 만드나 그 지극함에 이르면 천지에 드러난다.
結上文。
윗글을 끝맺었다.
右第十二章。子思之言,蓋以申明首章道不可離之意也。其下八章,雜引孔子之言以明之。
우는 제 12장이다. 자사의 말은 대개 첫장 '도는 떠날 수 없다'는 뜻을 펼쳐 밝혔으며, 그 아래 여덟장은 공자의 말을 섞어 인용하여 밝혔다.
13. 子曰:「道不遠人。人之為道而遠人,不可以為道。
자왈 "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다. 사람이 도를 행하다 사람을 멀리하니 도를 행할 수 없다.
道者,率性而已,固眾人之所能知能行者也,故常不遠於人。若為道者,厭其卑近以為不足為,而反務為高遠難行之事,則非所以為道矣
도란 성을 따를 뿐이니, 진실로 뭇사람들이 알 수 있고 행할 수 있는 바이기에 항상 사람에게서 멀지 않다. 만약 도를 행하는 자가 비근한 것을 싫어하여 부족하다고 여기고 도리어 고원하고 행하기 어려운 일을 하는데 힘쓴다면 도를 행하는 것이 아니다.
詩云:『伐柯伐柯,其則不遠。』執柯以伐柯,睨而視之,猶以為遠。故君子以人治人,改而止。
시에 이르길 "도끼 자루를 베고 도끼 자루를 베도다, 그 법칙이 멀지 않도다" 도끼 자루를 잡고 도끼 자루를 베며, 흘겨 보고 오히려 멀다고 여긴다. 그래서 군자는 사람으로 사람을 다스리고 고쳐지면 그만둔다.
睨,研計反。詩豳風伐柯之篇。柯,斧柄。則,法也。睨,邪視也。言人執柯伐木以為柯者,彼柯長短之法,在此柯耳。然猶有彼此之別,故伐者視之猶以為遠也。若以人治人,則所以為人之道,各在當人之身,初無彼此之別。故君子之治人也,即以其人之道,還治其人之身。其人能改,即止不治。蓋責之以其所能知能行,非欲其遠人以為道也。張子所謂「以眾人望人則易從」是也。
睨의 음은 예(ㅇ+ㅖ)이다. 시 빈풍 벌가 편이다. 柯는 도끼 자루이다. 則은 법칙이다. 睨는 흘겨봄이다. 사람이 도끼 자루를 잡고 나무를 베어 도끼 자루로 삼는데, 그 자루의 길고 짧은 법이 이 자루에 있을 따름임을 말한다. 그러나 오히려 이것과 저것의 구별이 있기에 베는 자가 보고 오히려 멀다고 여긴다. 만약 사람으로 사람을 다스리면 사람의 도가 되는 근거所以가 각기 사람의 몸에 달려있어 처음부터 이것과 저것의 구별이 없다. 그래서 군자가 사람을 다스림은 그 사람의 도로써 다시 그 사람의 몸을 다스린다. 그 사람이 고칠 수 있으면 곧 그쳐서 다스리지 않는다. 대개 그 알 수 있고 할 수 있는 바로 바라는責 것이지, 사람을 멀리하여 도를 행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장자가 이른바 "여러 사람으로 사람을 바라면 따르기 쉽다"가 그것이다.
忠恕違道不遠,施諸己而不願,亦勿施於人。
忠恕가 도에서 떨어짐이 멀지 않다. 자기에게 베풀어 바라지 않는 것을 또한 남에게 베풀지 말라.
盡己之心為忠,推己及人為恕。違,去也,如春秋傳「齊師違穀七里」之違。言自此至彼,相去不遠,非背而去之之謂也。道,即其不遠人者是也。施諸己而不願亦勿施於人,忠恕之事也。以己之心度人之心,未嘗不同,則道之不遠於人者可見。故己之所不欲,則勿以施之於人,亦不遠人以為道之事。張子所謂「以愛己之心愛人則盡仁」是也。
자기를 다하는 마음이 충이고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침이 서이다. 違는 거리이다. 예컨대 춘추전 "제나라 군사가 穀땅에서 7리 거리에 있다"의 違이다. 여기서 저기까지 서로 거리가 멀지 않음을 말하고, 등지고 떠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다는 것이 그것이다. 자기에게 베풀어 원하지 않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베풀지 않음은 충서의 일이다. 자기의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림은 일찍이 다른 적이 없으니 도가 사람에게 멀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자기가 바라지 않는 바는 다른 사람에게 베풀지 않는 것 또한 사람을 멀리 하지 않음으로 도를 행하는 일이다. 장자가 이른바 "자기를 아끼는 마음으로 남을 아끼면 인을 다한다"가 그것이다.
君子之道四,丘未能一焉:所求乎子,以事父未能也;所求乎臣,以事君未能也;所求乎弟,以事兄未能也;所求乎朋友,先施之未能也。庸德之行,庸言之謹,有所不足,不敢不勉,有餘不敢盡;言顧行,行顧言,君子胡不慥慥爾!」
군자의 도는 네가지이나 나는 하나도 능하지 못하다. 자식에게 바라는 바로 부모를 섬기는 것이 능하지 못하다. 신하에게 바라는 바로 임금을 섬기는 것이 능하지 못하다. 아우에게 바라는 바로 형을 섬기는 것이 능하지 못하다. 친구에게 바라는 바로 먼저 베푸는 것이 능하지 못하다. 평소 덕을 행함과 평소 말을 삼감에 부족한 바가 있어 감히 근면하지 않을 수 없고 남은 바를 감히 다하지 못한다. 말이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이 말을 돌아보니 군자가 어찌 독실하지 않겠는가!"
子、臣、弟、友,四字絕句。求,猶責也。道不遠人,凡己之所以責人者,皆道之所當然也,故反之以自責而自修焉。庸,平常也。行者,踐其實。謹者,擇其可。德不足而勉,則行益力;言有餘而訒,則謹益至。謹之至則言顧行矣;行之力則行顧言矣。慥慥,篤實貌。言君子之言行如此,豈不慥慥乎,贊美之也。凡此皆不遠人以為道之事。張子所謂「以責人之心責己則盡道」是也。
子、臣、弟、友 네 글자는 절구이다. 求는 바라는責 것과 같다. 도가 사람에게서 멀지 않으니 무릇 자기가 다른 사람에게 바라는 것이 모두 도의 마땅한 바이다. 그래서 돌이켜 스스로 바라고 스스로 닦는다. 庸은 평상이다. 행이란 그 실천함이다. 삼감이란 그 옳은 것을 택함이다. 덕이 부족한데 힘쓰면 행함에 더욱 힘을 쓰고, 말에 남음이 있어 참으면 삼감에 더욱 지극해진다. 삼감이 지극해지면 말이 행을 돌아볼 것이다. 행함이 힘쓰면 행이 말을 돌아볼 것이다. 慥慥는 독실한 모양이다. 군자의 언행이 이와 같으니 어찌 독실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말하며 찬미하는 것이다. 무릇 이는 모두 사람을 멀리하지 않아 도를 행하는 일이다. 장자가 이른바 "다른 사람에게 바라는 마음으로 자기를 바라면 도를 다한다"가 그것이다.
右第十三章。
우는 제 13장이다.
道不遠人者,夫婦所能,丘未能一者,聖人所不能,皆費也。而其所以然者,則至隱存焉。下章放此。
도가 사람에게서 멀지 않다는 것은 부부라도 할 수 있는 바이다. 공자께서 하나도 능하지 못하다는 것은 성인이라도 할 수 없는 바이니 모두 費이다. 그러나 그렇게 된 까닭은 지극히 은미한 데 있다. 다음 장도 이와 같다.
- 『이정유서』, 권3, "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 此一段, 子思喫𦂳為人處, 與必有事焉而勿正心之意同. 活潑潑地. 㑹得時, 活潑潑地. 不㑹得時, 只是弄精神." [본문으로]
'번역 > 중용장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장구 20장 (0) | 2023.06.29 |
---|---|
중용장구 14, 15, 16, 17, 18, 19장 (1) | 2023.06.16 |
중용장구 6, 7, 8, 9, 10장 (1) | 2023.06.02 |
중용장구 2, 3, 4, 5장 (0) | 2023.05.22 |
중용장구 1장 (2) | 2023.05.12 |